Though this technology isn't much related to our theme, piezoeletric energy harvesting, I was attracted to the title, 'Generating eletricity from humidity for I had been spending a whole week in rainy season. (My room is totally humid even right now..)
MIT generate electricity from water droplets which are spontaneously jump away from superhydrophobic surfaces while they are condensed. In humid air there are lots of vapor and when the cool surface is prepared, they will change into water on that surface. And small droplets will gather to form a large one. According to MIT, during this process, the surface energy is converted into the mechanical energy. And the larger droplets spontaneously jump to the other plates and produce electricity because they have charge.
On current lever, the output is quite good. Per square centimeter, it can produce 1 microwatt and when it is made into a size of normal camping cooler(50 square centimeter) it can charge cellphone in about 12 hours.
For this process,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between device and air is needed. In short it needs humid air and cool surface. As this conditional restraint, it is expected to work in cave, river etc.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who are working on this technique, this technique harvesting energy from condensation is novel idea and there has been no try to relate energy harvesting and condensation before.
Read more at: http://www.energyharvestingjournal.com/articles/generating-electricity-from-humidity-00006761.asp
이번 여름은 유난히 덥고도 유난히 습한 것 같다. 오늘 아침, 간밤에 비가 내린 뒤 한창 방안이 습할 때 에너지 하베스팅 저널을 기웃거리다 정말 매력적인 제목의 글을 찾았다.
'습기로부터 전기에너지를 만들기'
MIT에서 굉장히 소수성인 표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물방울들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냈다. 주변의 습도 높은 공기에는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있는데 이들이 찬 소수성 판에 닿으면 응결된다. 그리고 인접한 작은 물방울들이 표면장력을 줄이기 위해 모여서 큰 물방울을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를 갖게 된 큰 물방울들이 소수성 표면에서 튀어오르고 이때 다른 판으로 전하를 전달하며 전기가 생산된다.
현재 기술로 생산량은 평방 cm당 1마이크로 와트 정도 이고, 50cm 평방 크기로 제작되면 12시간동안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전기 생산이 가능하려면 우선 주변 환경과 발전기 사이의 온도차가 필수적이다. 그래야 주변에 존재하는 수분이 응결될테니까. 따라서 동굴이나 강 주변에서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원은 '응결이란 주제로 에너지 하베스팅을 구현한 연구가 기존에 없었다며 이번 연구는 굉장히 새로운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을 제안했다'라고 말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